레이블이 alexa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alexa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3월 5일 목요일

미국내 100대 사이트의 웹표준 준수율은?

Jeffrey Zeldman이 그의 저서 Designing With Web Standards 세번째 판을 작업하면서 Alexa에서 조사한 미국내 100대 사이트들의 마크업 유효성 검사를 해 본 결과를 소개했습니다.

100대 사이트 중 단 7%(7개 사이트)만이 마크업 유효성 검사를 통과한 것으로 나오는데요 다음과 같습니다.
  1. MSN (#7 in Alexa’s list) validates as XHTML 1.0 Strict. Who’d a thunk it? (Validation link)
  2. Craigslist (#10) validates as HTML 4.01 Transitional. I’ll buy that! (Validation link)
  3. WordPress (#22) validates as XHTML 1.0 Transitional. The power of the press, baby! (Validation link)
  4. Time Warner RoadRunner (#39) validates as XHTML 1.0 Transitional. Meep-Meep! (Validation link)
  5. BBC Newsline Ticker (#50) validates as XHTML 1.0 Strict. Cheers, mates! (Validation link)
  6. The US Internal Revenue Service (#58) validates as HTML 4.01 Transitional. Our tax dollars at work! (Validation link)
  7. TinyPic (#73) (”Free Image Hosting”), coded by ZURB, validates as XHTML 1.0 Transitional. (Validation link)
아쉽게 마크업 유효성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Wikipedia (#8) almost validates as XHTML 1.0 Strict (two errors).
  2. Apple (#29) almost validates as HTML 4.01 Transitional (two errors).
  3. Linkedin.com (#45) almost validates as HTML 4.01 Transitional (one error).
  4. AWeber Communications (#83) almost validates as XHTML 1.0 Transitional (one error: an onClick element)

Zeldman도 MSN의 결과를 믿을 수 없는 것(Who’d a thunk it?) 같다고 하는데요 저 역시 놀랍네요! 그것도 XHTML 1.0 Strict 으로 말이죠! 자사 브라우저는 그 따위로 만들어 놓고, 웹 사이트는 표준을 준수하려고 했다니! 뻔뻔스럽기까지 하군요. 한국 MSN 사이트 역시 유효성 검사를 무사히 통과하는군요. 흠.

어쨌든 상당히 재밌는 조사인 것 같습니다. 국내 100대 사이트도 한번 훑어 봐야겠는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