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퍼 텍스트 문학 - 류현주(2000. 9) / 김영사 | 
인터넷은 텍스트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책은 인터넷 글쓰기에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하고 있는 미래문학서이다. 현재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 활발하게 창작, 연구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문학에 대한 국내 유일하다고 할 수 있는 연구서이다. 하이퍼문학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과 작품을 통해 인쇄문학과의 자유롭고 흥미로운 분석이 눈여겨 볼만하다.
- 이, E, 異
 E-시대, 이 정신
 E-시대, 이 책
 E-시대, 이 문학
 이 시대 E-글쓰기
 
 
- CULTRONICS
 만가와 축가
 접촉과 접속
 두 개의 창, 그리고 조이스
 
 
- 하이퍼 문학은 돌연변이인가?
 하이퍼텍스트의 역사
 『용의 궁전 Palace of a Dragon King』
 독서, 포인트-클릭
 독자, 디지털 유목민
 
 
- 종이 책의 끝인가, 끝이 없는 책인가?
 『오후, 이야기 Aftermoon, a story』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I Have Said Nothing』
 마침표는 무엇을 마침인가?
 작가들은 무엇에 억압당해 왔는가?
 
 
- 하이퍼 문학은 무엇을 하이퍼-하는가?
 엑스트라텍스트
 『패치워크 소녀 Patchwork Girl』
 작가, 영원한 좀비
 『그래마트론 Grammatron』
 -이즘을 끝내는- 이즘, 하이퍼텍스트적 의식
 
 
- 디지털 오딧세이
 시로 쓴 하이퍼텍스트, 하이퍼텍스트로 쓴 시
 『둘을 위한 하나의 삶 A Life Set for Two』
 탐정이 없는 탐정 소설 『욕망 Lust』
 어서 말을 해!
 『거래 The Deal』
 
 
- E-LITERACY 혹은 ELITE-PACY
 디지털 파도
 문학 네트워크
 
댓글 없음:
댓글 쓰기